차례상 혹은 제사상 대표적 음식 요리법으로 감미롭게 만들기
제사상차림새 오늘은 얼마 남지 않은 추석을 앞두고 추석 제사상차림이 어떠한 방법으로 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교문화에 따르는 명절의 제사 문화는 정말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 합니다. 심지어는 제사상에 증가하는 음식들의 종류와 배치에 까지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이런 점 떄문에 매 명절 때마다. 곤혹스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번 글을 준비해 봤다. 추석 제사상차림은 어떠한 방법으로 되는지, 어떤 음식들이 놓이고, 음식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배치해야 하는지 정리해둘 테니 참고가 되기 바라낟. 추석 제사상차림에 증가하는 음식은 기본적으로 지역마다.
달라지고 차이있는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가장 통상적으로 전해지는 가이드라인은 존재합니다. 필자는 그런 가이드라인에 맞게 추석 제사상차림에는 어떤 음식들이 필요한지 먼저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상차림새 좌우 배치
추석 제사상차림의 수직 배치에 관련해서 알아봤는데 그렇다면 좌우 배치는 어떠한 방법으로 될까. 음식들의 좌우 배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5가지 말을 기억하면 됩니다. 어동육서, 두동미서, 좌포우혜, 조율이시, 홍동백서, 이 5가지입니다.
어동육서는 말 그대로 생선류 음식은 오른쪽에 고기류 음식은 왼쪽에 놔야 함을 의미합니다. 두동미서는 생선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꼬리를 왼쪽으로, 좌포우혜는 왼쪽에는 여러 생선들의 포 종류 음식을, 오른쪽에는 식혜를 놔야 함을, 조율이시는 과일류를 배치하는 순서대로 밤-배-감-기타과일-과자류의 순서를 의미합니다.
홍동백서는 불은 과일은 오른쪽에 한얀색의 과일은 왼쪽에 놔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좌우는 지방을 기준으로 합니다.
제사상차림새 지역적 특성
물론 보편적인 제사상차림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 보편적이라고 하는 기준은 지역마다. 달라진다. 경기도의 경우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북어를 올리는가 하면 경상도에서는 돔배기를 올리거나 다양한 유형의 전과 떡을 함께 올리기도 합니다. 전라도의 경우 꼭 홍어요리를 준비합니다. 낙지나 꼬막 같은 재료, 문어 등의 재료를 오리기도 합니다. 강원도의 경우 메밀전과 감자전, 그리고 배추로 만든 적을 올리고, 버섯류의 부침을 심심치 않게 제사상차림에 올립니다.
추청도의 경우 각종 채소를 볶아 꼬치로 만든 향 누름적을 제사상차림에 올립니다. 제사상차림에 관련해서 정리합니다. 보니 제사에 정말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왜 제사를 올리는지, 왜 이처럼 화려한 제사상을 차리는지 등에 대한 것들 말입니다. 하지만 그것들을 공부할수록 이 제사상차림이라는 게 얼마나 어느정도로 쓸데없는 것인 줄 알게 되었습니다.
댓글